구니키다 돗포 <쇠고기와 감자>를 읽고 과제 레포트 제출했습니다.
구니키다 돗포의 <쇠고기와 감자>를 읽으면서 가장 먼저 생각난 것은 닌텐도 게임 <동물의 숲>의 마스코트 격 캐릭터인 ‘너굴’이었다. 플레이어에게 자택의 증축을 강권하여 수백만에 달하는 돈을 벌어들이고, 시리즈를 거듭할수록 부동산과 관광 등 각종 사업에 손대며 거금을 벌어들이는 NPC. 동물의 숲 시리즈 플레이어에게는 돈에 눈이 멀어버린 너구리라는 인식이 박혀 있을 정도다. 이런 너굴에게도 꿈과 이상이 자신의 모든 걸 지배하던 시기가 있었다. 젊었을 적 너굴은 꿈을 이루기 위해 고향을 떠나 도시로 향했지만, 콘크리트 정글과 같은 도시 세계에서 모든 걸 잃는다. 그는 소꿉친구의 위로와 격려도 거절하고 “꿈만으로는 세상을 살아갈 수 없다”며 돈을 모으기 시작한다. <쇠고기와 감자>에 빗대어 보자면, 본래 홋카이도 이주를 동경했으나 결국 현실에 안주하게 된 가미무라와 비슷한 처지인 것이다.
<쇠고기와 감자>에서 가미무라는 홋카이도 이주에 관해 이야기하며 자신이 현실에 안주하게 된 계기를 설명한다. 대학교를 졸업하고 얼마 지나지 않았을 때, 가미무라는 청교도인을 자처하고 홋카이도 이주라는 이상을 꿈꾸고 있었다. 우여곡절 끝에 홋카이도에 도착해 생활을 시작했지만 그곳에서의 삶은 이상과 전혀 달랐고, 가미무라는 1년 만에 홋카이도를 떠나 이상을 중요시하지 않는 사람이 된다. 이때 가미무라를 포함한 등장인물들은 현실과 이상을 비프 스테이크의 쇠고기와 부속물인 감자로 비유한다. 쇠고기는 스테이크의 주요한 재료이고 감자는 그 부속물로, 아주 중요한 재료는 아니라는 점에서 착안한 비유다. 가미무라는 자신이 이상을 좇다가 현실에 안주하는 사람이 되었다는 의미로 스스로를 쇠고기당이라고 지칭한다.
사람에게 어느 정도 이상이 있다는 건 그 사람이 지극히 인간적이라는 증거라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해서 가미무라의 현실주의적인 태도를 마냥 세속적이라고 비판할 수만은 없다고 생각한다. 가미무라가 감자보다 쇠고기를 택하게 된 건 가치관이 바뀔만한 상황을 겪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일이다. 그리고 실제로 어느 정도의 현실주의는 이상을 이루기 위한 발판이 될 수 있다. 현실을 직시하고 그에 따라 자신의 힘을 키울 방안을 찾아가는 것이 무턱대고 이상을 좇는 것보다 성공률이 높기 때문이다.
예의 가미무라는 쇠고기를 먹는 게 더 편하고 즐거운 길이라는 뉘앙스로 가볍게 말했지만, 조금 더 무겁게 이야기해 본다면 생존을 위해서 세속주의는 필요하다. 가령 전술했던 너굴의 경우에도, 작품 내외적으로 속물이라고 비난받고 있지만 ‘잔혹한 도시의 세계’에서 크게 데이고 모든 걸 잃은 사람은 세속적으로 변할 수밖에 없다. 가미무라의 경우에는 홋카이도에서 현실의 벽을 마주하고 돌아왔을 뿐이지만 이상만 추구할 경우 너굴처럼 모든 걸 잃어 더 이상 이상을 추구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람은 현실을 직시하고 이상을 실현할 기반을 다져야 한다. 가미무라의 친우였던 가지무라가 “감자보다는 쇠고기가 자양분이 많다”라고 말했던 것처럼, 현실을 추구하는 것은 스스로의 능력을 다지고 이상을 추구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나가는 일이다.
무턱대고 이상을 추구하기보단 자리가 잡힐 때까진 현실을 추구해야 일말의 이상조차 잃은 비인간적인 사람이 되지 않는다. 너굴이 도시에서 모든 걸 잃고 돌아와서 세속적인 사람이 된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동시에 젊었을 적의 패기를 조금만 더 가라앉히고 더 많은 걸 준비하여 도시로 향했다면 지금만큼 속물로 지칭되며 사람들에게 비난받지 않았을 것이다. 가미무라 또한 현실적인 기반을 다지고, 홋카이도의 부정적인 일면까지 공부하고 조사했더라면 그 때 같은 실패는 벌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독서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설 <우럭 한 점 우주의 맛> 감상 (스포일러 有) (1) | 2020.04.03 |
---|